[논문] 성경전서(1911) 번역사

성경전서 번역사 (p. 17)

유니크 바이블(unique Bible) 2024. 12. 29. 00:30

p. 17
 

복음의 씨를 뿌리고, 싹이 나도록 물을 주고 위해서 기도하며 자라도록 가꾸고 돌보는 자였 다. 권서의 믿음과 헌신의 모범이야말로 새 신자들이 따라가야 할 신앙의 새 삶의 모습이었 다.66) 그 결과 수많은 교회가 권서의 손으로 개척되었다. 장터나 초가집 마당이나 길이나 어디에서든지 이루어진 권서의 ‘암석 깨기’나 ‘씨 뿌리기’에 이어지는 후속 조치는 대부분 전도인, 목사, 선교사의 몫이었다. 권서는 이름 없이 빛도 없이 선구자의 역할을 하는 데 만 족하고 다른 마을로 향했다.
 
     1908년 하디 목사는 1896년 이래 12년간 남감리회가 설립한 225개 교회의 대부분이 권서에 의해 개척되었다고 공회에 보고했다. “교회나 기도소가 있는 각 지방은 의례히 귀 공회의 권서가 먼저 복음을 전파한 곳이요, 신도들에게 어떻게 입교한 경력을 물으면 자주 중첩되는 동일한 답어는 다만 귀 공회의 전도인인 모씨가 복음 권한 것입니다.”67) 1912년 영국성서공회 베시 부총무의 말처럼 성경은 대부분 권서의 손을 통해 “감옥소, 병원, 나환자 촌, 창녀촌, 도박판, 아편소굴, 궁궐, 상점, 산중 사찰, 가난한 초가집, 어부의 거룻배, 뱃사 공의 나룻배, 학교와 대학”에까지 들어가서 ‘중생한 자’들을 만들었다.68) 전라남도의 한 목 사는 다음과 같이 권서의 전도자 역할을 보고했다.
 

우리가 의심 없이 확실히 인정하는 바는 권서인 사업의 진취되는 효력이라. 권서인은 곧 교회 성립을 예비하는 기관이니, 금월에도 본인 구역 내에 권서인의 갈력으로 시작된 교회가 두세 곳이라. 이같이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하여 천국을 건설하는 귀 공회의 중요한 임무와 거대한 경비를 협조코자 심절이 동정을 표하노라.69)

 
이러한 권서의 전도 개척자 역할에 대한 보고와 간증은 권서를 감독하던 선교사들의 서신과 보고서에서 계속 등장했다.
 
[표 4] 권서 통계, 1910-1933 (3년 간격)70)
        영국성서공회     미국성서공회         
        권서   부인권서   권서   부인권서         

1900     21           16           1           0               38
1903      49           20          4           0               73
1906     26           16            -            -               42
1909      102        19            -            -             121
1912     157         33            ?            ?            190
1915      161        29         90           10           290
1918     144         (20)      57           11            232
1921      131         12         -            -               143
1924     116          8           -             -               124
1927      112         8          -              -               120
1930     102          7           -             -               109
1933      83           3           -             -                86 

 
 
                                                                         

66) Ibid,, 138; W. G. Cram, "The Bible Society as an Evangelistic Agency," Korea Mission Field (April 1912): 120.
67) 양주삼 정태응 편, 《閔休先生實記》 (대영성서공회, 1938), 29.
68) F. G. Vesey, "Korean Vignettes," Bible in the World (August 1912): 242.
69) 許燁, “대영셩셔공회ᄉᆞ업,” <基督申報>, 1917년 5월 23일.
70) 《대한성서공회사 2》, 334-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