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장(章)
호르마를 점령하다
1. 남방(南方)에 거(居)하는 가나안 사람 아랏 왕(王)이 ‘이스라엘 자손(子孫)이 아다림 길로 온다’ 함을 듣고, 이스라엘 자손(子孫)으로 더불어 싸워, 몇 사람을 사로 잡으니,
2. 이스라엘 자손(子孫)이 여호와께 소원(所願)을 아뢰어 맹세(盟誓)하여 가로되, 주(主)께서 만일(萬一) 그 백성(百姓)을 우리 손에 붙이시면, 우리가 그 성읍(城邑)들을 진멸(殄滅)하겠나이다.
3.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의 말을 들으시고, 가나안 사람을 붙여주시매, 그들의 성읍(城邑)을 진멸(殄滅)한 고(故)로, 그곳을 이름하여 호르마라 하더라
놋뱀으로 백성을 구하다
4. 백성(百姓)이 호르산(山)에서 발행(發行)하여, 홍해(洪海) 길로 말미암아 에돔 땅을 돌아가고자 하더니, 백성(百姓)의 마음이 길에(서) 곤(困)함으로 근심하여,
5. 하나님과 모세를 대적(對敵)하여 가로되, 너희가 어찌하여 우리를 인도(引導)하여 애굽에서 나와서 광야(曠野)에서 죽게 하는고? 여기서 양식(糧食)도 없고 물도 없으니, 우리 마음에 이 박(薄)한 떡을 싫어하노라. 하거늘,
6. 여호와께서 불뱀을 보내사, 백성(百姓) 가운데 들어가 백성(百姓)을 물게 하시니, 이스라엘 백성(百姓)이 죽는 자가 많은지라.
7. 백성(百姓)이 모세에게 이르러 가로되, 우리가 여호와와 당신(當身)을 대적(對敵)하여 말함으로 범죄(犯罪)하였나이다. 여호와께 기도(祈禱)하여, 이 뱀을 우리에게서 떠나게 하소서. 하거늘, 모세가 백성(百姓)을 위(爲)하여 기도(祈禱)하니,
8.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불뱀 하나를 만들어, 기(旗)대(장대,깃대) 위에 두라. 물린 자(者) 마다 쳐다 보면, 곧 살리라.
9. 모세가 구리 뱀을 만들어, 기(旗)대(장대, 깃대) 위에 두니, 뱀에게 물린 자(者)가 구리 뱀을 쳐다 보고, 삶(생명)을 얻더라.
호르산에서 모압 골짜기까지
10. 이스라엘 자손(子孫)이 발행(發行)하여, 오봇에 진(陣)치고,
11. 또 오봇에서 발행(發行)하여, 이예 아바림에 진(陣)치니, 모압 앞 해 돋는 편(便) 광야(曠野)라.
12. 거기서 발행(發行)하여, 세렛 골짜기에 진(陣)을 치고,
13. 또 거기서 발행(發行)하여, 아르논 시내(市內) 저편(-便) 언덕에 진(陣)치니, 이 아르논 시내(市內)는 아모리 사람의 지경(地境)에서 흘러, 광야(曠野)에 이르러, 모압과 아모리 사이 지경(地境)(경계)이 되므로,
14. 여호와의 전쟁(戰爭) 사기(史記)에 일렀으되,
15. ‘수바의 와헙과 아르논 골짜기와 모든 골짜기 비탈은 아르 고을을 향(向)하여 기울어지고, 또 모압 지경(地境)(경계)에 접(接)하였다.’ 하더라
16. 백성(百姓)이 거기서 발행(發行)하여, 브엘에 이르니, 이는 여호와께서 전(前)에 모세에게 말씀하신 우물이니, 이르시기를, 너는 백성(百姓)을 모집(募集)하라(모으라). 내가 물을 주리라. 하셨더라
17. 그 때에 이스라엘이 이 노래를 노래하여 가로되, 노래하세 우물이여, 솟아나라.
18. 방백(方伯)이 그 우물을 팜이여, 민장(民長)(백성의 귀인들)이 홀(笏)과 지팡이로 팠도다. 하니라. 무리가 광야(曠野)에서 발행(發行)하여, 맛다나에 이르고,
19. 맛다나에서 나할리엘에 이르고, 나할리엘에서 바못에 이르고,
20. 바못에서 모압 땅에 있는 골짜기에 이르고, 비스가산(山) 꼭대기에 이르니, 이 비스가는 광야(曠野)를 내려다보는 곳 이러라.
요단 동쪽을 점령하다
21. 이스라엘 자손(子孫)이 사자(使者)를 보내매, 아모리왕(王) 시혼에게 나아가 가로되,
22. 우리를 왕(王)의 땅으로 지나가게 하소서. 우리가 치우쳐 밭과 포도원(葡萄園)으로 다니지 아니하고, 우물에 물도 마시지 아니하고, 왕(王)의 지경(地境)(경계) 밖에 나가도록, 왕(王)의 대로(大路)로만 행(行)하리이다.
23. 시혼이 그 지경(地境)으로 이스라엘의 지나감을 용납(容納)지 아니하고, 모든 군사(軍士)를 모아, 광야(曠野)로 나가서 이스라엘을 치려고,
24. 야하스에 이르러, 이스라엘로 더불어 싸울새,
25. 이스라엘이 칼로 치고 그 땅을 아르논부터 얍복까지 빼앗고, 암몬 족속(族屬)의 땅에 이르니, 암몬 족속(族屬)의 지경(地境)이 견고(堅固)한지라.
26. 이스라엘이 이 모든 성읍(城邑)을 빼앗고, 드디어 아모리 모든 성읍(城邑)에 거(居)하니, 곧 헤스본과 모든 촌(村)이라. 헤스본은 곧 아모리 왕(王) 시혼의 도성(都城)이니, 그가 모압 전(前) 임금으로 더불어 싸워, 그 손에서 온 땅을 빼앗아, 아르논까지 이르렀으니,
27. 그런 고(故)로 시(詩) 읊는 자(者)가 일렀으되, ‘너희가 헤스본에 이름(다다름)이여, 시혼의 고을을 세워 견고(堅固)케 하리로다.’
28. ‘불이 헤스본에서 남이여, 맹렬(猛烈)한 불꽃이 시혼의 도성(都城)으로 좇아 나왔도다. 모압 아르를 태우고, 아르논 시내(市內) 언덕에 거(居)하는 주인(主人)을 태웠도다.’
29. ‘모압이여, 너는 앙화(殃禍) 있고. 그모스 백성(百姓)이여, 너는 멸망(滅亡)하였도다. 그 남자(男子)들은 도망(逃亡)하게 하였고, 그 자녀(子女)들은 아모리 왕(王) 시혼에게 사로잡혔도다.’
주(註) ①앙화(殃禍): 재난과 재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