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장(章)
만나와 메추라기
1. 이스라엘 회중(會衆)이 엘림으로부터 행(行)할새, 애굽 땅에서 나온 지 두 달(2개월) 십오일(15日)만에 신 광야(曠野)에 이르니, 곧 엘림과 시내산(山) 사이라.
2. 이스라엘 자손(子孫)의 온 회중(會衆)이 광야(曠野)에서 모세와 아론을 원망(怨望)하여,
3. 이르되, 우리가 애굽 땅에서, 여호와의 손에 죽었으면 좋을뻔하였도다. 그때에 우리가 고기 가마(큰 솥) 곁에 앉아 식물(食物)을 배부르게 먹었더니, 너희는 우리를 이 광야(曠野)로 인도(引導)하여, 이 온 회중(會衆)으로 하여금, 굶주려 죽게하는 도다. 하거늘,
4.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내가 너희를 위(爲)하여, 하늘로서 양식(糧食) 내리기를 비 오듯 하게 하리니, 백성(百姓)이 날마다 나가서 당일(當日) 먹을 것을 거두게 하므로, 시험(試驗)하여, 나의 율법(律法)을 준행(遵行)하나 아니하나 보리라.
5. 제(第) 육일(6日)에 이르러는 거두는 것을 예비(豫備)할지니, 날마다 거둔 것보다 갑절이나 거두게 하라. 하신대,
6. 모세와 아론이 이스라엘 모든 자손(子孫)에게 이르되, 여호와께서 너희를 인도(引導)하여 애굽 땅에서 나오게 한 줄을, 오늘 저녁에야 너희가 알 것이요,
7. 아침에 여호와의 영광(榮光)을 너희가 보리니, 무엇보다 여호와께서 자기(自己)를 원망(怨望)하는 말을 들으신지라. 우리를 누구로 여기기에 너희가 우리를 원망(怨望)하느냐? 하더라.
8. 모세가 가로되,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저녁에 먹을 고기와 아침에 배불릴 떡을 주시리니, 무엇보다 여호와께서 자기(自己)를 향(向)하여, 너희의 원망(怨望)하는 말을 들으셨도다. 우리가 누구뇨(무엇이뇨)? 너희가 우리를 원망(怨望)하는 것이 아니라 여호와를 원망(怨望)함이라. 하고,
9. 또 아론에게 이르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子孫)의 온(모든) 회중(會衆)에게 이르기를, 너희가 여호와 앞으로 나아오라. 너희의 원망(怨望)하는 말을 들으셨다 하라. 하니,
10. 아론이 이스라엘 온(모든) 회중(會衆)에게 반포(頒布)할 때에 무리가 들(판)을 향(向)하여 바라보니, 여호와의 영광(榮光)이 구름 속에 나타나더라.
11.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12. 내가 이스라엘 자손(子孫)의 원망(怨望)하는 것을 들었으니, 너는 그들에게 이르기를, 저녁에 고기를 먹고 아침에 떡을 배불리 먹으리니, 내가 곧 너희 하나님 여호와인줄 너희가 알리라 하라. 하시더라.
13. 저녁이 되매, 메추라기가 모여서 진영(陣營)을 덮고, 또 아침에, 진영(陣營) 사면(四面)에 이슬이 내리더니,
14. 내린 이슬이 걷힌 후(後)에, 작고 둥근 것이 가늘기가 서리 같아서 광야(曠野) 지면(地面)에 있거늘,
주(註) ①가늘다 > 가늘기 cf.굵다 >굵기 |
15. 이스라엘 자손(子孫)이 보고 무엇인지 알지 못하여 서로 가로되, 이것이 무엇이냐? 하니, 모세가 이르되, 이는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먹을 떡으로 주신 것이라.
16. 이는 여호와의 명(命)하신 바니, ‘각(各) 사람이, 식량(食糧)과 장막(帳幕) 중(中)에 있는 사람의 수효(數爻)대로, 매(每) 명(名)에 한(1) 오멜씩 거두라 하셨다. 하니, 이스라엘 자손(子孫)이 그대로 행(行)하여 많이 거둔 자(者)도 있고 적게 거둔 자(者)도 있는지라.
주(註) ①매(每) 명(名)에 = 명(1名) 당(當): 낱낱의 명(名) |
17. (하지만) 오멜로 되어(재어) 보니, 많이 거둔 자(者)도 남음이 없고, 적게 거둔 자(者)도 부족(不足)함이 없거늘, 각(各) 사람이 그 식량(食糧)대로 거두는지라.
주(註) ①되어 보니 : 재어 보니, 측량해 보니 ②되다: 말, 되, 홉 따위로 가루, 곡식, 액체 따위의 분량을 헤아리다. |
18. 모세가 가로되, 아무든지(누구든지) 내일(來日)까지 두지 말라. 하였더니,
19. 그들이 모세의 말을 듣지 아니하고, 그 이튿날까지 두매, 구더기가 나서 냄새가 나니, 모세가 노(怒)하더라.
20. 무리가 매일(每日) 아침이면, 각기(各其) 식량(食糧)대로 거두는데, 해가 쪼이면, 스러지니,
주(註) ①스러지다: 형체나 현상 따위가 차차 희미해지면서 없어지다 |
21. 육일(6日)을 당(當)하여(6일째 날에는), 무리가 그 식량(食糧) 거두기를 갑절이나 더하여, 각(各) 사람이 두(2) 오멜을 거두매, 모든 회장(會長)(회중의 두령頭領)이 와서 모세에게 고(告)한대,
22. 모세가 이르되, 여호와의 말씀이, 내일(來日)은 안식일(安息日)이니, 곧 여호와의 거룩한 안식일(安息日)이라. 너희가 지질 것은 지지고, 삶을 것은 삶고, 그 나머지는 거두어, 내일(來日)까지 두라. 하니,
주(註) ①지지다 ⒜국물을 조금 붓고 끓여서 익히다. ⒝불에 달군 판에 기름을 바르고 전 따위를 부쳐 익히다. |
23. 무리가 모세의 명(命)을 좇아 아침까지 두매, 냄새도 나지 아니하고 구더기도 나지 아니하거늘,
24. 모세가 가로되, 오늘날 그것을 먹으라. 오늘은 여호와의 안식일(安息日)이니, 오늘은 너희가 들에서 얻을 것이 없으리라.
25. 육일(6日) 동안을 거두되, 오직 칠일(7日)을 당(當)하면(제 7일은) 안식일(安息日)이니, 반드시 (만나가) 없으리라. 하더라.
26. 칠일(7日)을 당(當)하여 (제7일 되는 날에), 백성(百姓) 중(中)에 거두려 하는 자(者)가 있어 나가매, 과연(果然)(말했던 그대로) 얻지 못하니라.
27.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희가 내 계명(誡命)과 율법(律法) 지키기를 싫어하기를, 어느 때까지 하겠느냐?”
28. 볼지어다, 나 여호와가 안식일(安息日)로 너희에게 준 고(故)로(까닭에), 제(第) 육일(6日)에 너희에게 있을 양식(糧食)을 주노니, 제(第) 칠일(7日)에는 각각(各各) 그 처소(處所)에 거(居)하여, 한(1) 사람도 처소(處所)를 떠나지 말지어다.” 하시니,
29. 이러므로 제(第) 칠일(7日)에는 그 백성(百姓)이 안식(安息)하더라.
30. 이스라엘 사람이 그것을 만나라 하니, 모양(模樣)이 왕골씨(앗) 같아서, 희고 맛이 꿀 섞은 과자(菓子) 같더라.
31. 모세가 가로되, 이는 여호와의 명(命)하신 바니, ‘만나 한(1) 오멜을 담아 대대(代代)로 둘지니, 이는 내가 너희를 인도(引導)하여 애굽 땅에서 나올 때에, 광야(曠野)에서 너희를 먹이던 양식(糧食)을 후세(後世) 사람으로 하여금 보게 함이라.’ 하고,
32. 이에 아론더러 이르되, 한(1) 그릇을 취(取)하여, 만나 한(1) 오멜을 거둬 담아 여호와 앞에 두어, 대대(代代)로 있게 하라. 하니,
33. 아론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命)하신 대로 행(行)하여, 만나를 법궤(法櫃) 앞에 두니라.
34. 이스라엘 자손(子孫)이 사람이 사는 땅에 이르기까지, 사십년(40年) 동안 만나를 먹되, 가나안 지경(地境)에 이르도록, 만나를 먹은지라. 오멜은 곧 에바 십분지(十分之) 일(一)이더라.
주(註) ①십분(十分之一) : 1/10 |
주(註) ①개역한글(1938년)에는 왕골씨를 깟씨로 썼음 ②깟씨: 고수의 씨 ③고수: 산형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30~6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잘게 갈라진 우상 복엽이다. 6~7월에 작고 흰 꽃이 복산형 화서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둥글다. 잎과 줄기는 동부 유럽이 원산지로 절에서 많이 재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