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성경전서(1911) 번역사

성경전서 번역사 (p. 20)

유니크 바이블(unique Bible) 2024. 12. 29. 00:50

글까지도 자유로이 하지 못하고 일인에게 갖은 압박을 다 당하며 지내왔”으나 성경 번역으 로 “우리 글을 보게 해서 각 방면으로 더욱 개화해 나가는데 큰 힘이 되었으며 우리 문화사 상에 공적이 많을 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의 애국심까지도 높여 주었다”고 평가했다.82)
 
기념 강연
     1960년 4월 7-8일 밤에는 새문안교회에서 김윤경, 최준, 홍이섭, 김우규, 강길수, 황 광은 등이 “성서가 한국 근대 문화에 끼친 영향”이란 주제로 강연회를 개최했다. 김윤경은 기독교 전도와 더불어 한글을 생명을 얻게 되었다고 성경의 한글 보급에서의 선구적 역할을 강조했다.83) 홍이섭은 기독교가 일제 시대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 복음서가 로마 식민지 시 대를 배경으로 하므로 한국인이 성서의 정신을 받아들여 민족적인 저항 정신을 길렀고 이것 이 교회 발전의 기본 조건이었다고 해석했다.84) 강길수는 강연자들이 기독교가 한국 문화 에 끼친 영향으로 “제 나라 말의 존중 평민의 사상  비판하는 정신 자연 과학의 이해 구미 사회와의 접촉” 등을 지적했다고 정리하고 이 모두는 한국 교육에 대한 공헌 이라고 보았다.85) 황광은은 “성경은 사회사업에 귀중한 자료”라는 제목으로 기독교의 고아, 맹인, 병자, 나환자, 노인을 위한 복지 사업을 정리했다. 김우규는 “한국 현대 소설에 반영 된 성서의 영향”에서 긍정적, 비판적, 부정적인 형태 세 가지로 분석하고, 특히 신앙적 과정 의 계기로서의 ‘회개’를 취급한 긍정적 작품으로 이종향의 <사도전서>를 다루면서 “흔희 피동적인 감화에 의존해서 성장하는 것이 피선교지로서의 전통이 빈약한 한국적 크리스천의 신앙”이라고 비판하고 그러한 방법으로는 교회 앞에까지는 이끌어 올 수 있지만 “신과 대결 하는 실존적인 긴장은 불러일으킬 수 없”다고 보면서 “실존의 근원적인 비극을 자각하지 못 하고, 단지 심정적인 변화만으로 신앙적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만족할 수 있는 안이한 태도 는 이제 청산할 때”가 왔다고 주장했다.86)
 
<성서한국> 기고문과 방송 좌담회
     성서 완역 50주년을 기념하여 공회는 전시회를 개최했고 희곡 상연, 성서사전 발간 등 을 진행했으며, 가장 큰 과제인 새 번역을 추진하기로 했다. 그때 성경 전래 역사를 희곡으 로 만든 “만조”의 작가 주태익은 이 작품으로 “한국 기독교의 속이 곯은 내면적 나약성과 어쩔 수 없이 밖으로 나타나는 분열상”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성경 본연의 복음 진리”가 어떻게 확산되는지를 보여주려고 했다.87) 채기은 목사는 새 번역을 요청하면서, “성경은 일 반에게 널리 보급시켜 읽게 해야 하며 읽기 쉽게 또는 그 뜻을 빨리 깨닫도록 번역해야 할 것이 원칙이라면 10년 내외에 한 번씩 고쳐 번역할 수는 없더라도 그 민족의 언어생활을 참작하여 그 시대 그 국민에게 감미롭게 읽을 수 있도록 번역 사업을 게을리 할 수 없 다”88)고 했다. 김찬국은 “한국어 성경은 한국인의 손으로 다시 현대인의 감각에 접근될 수
 
                                                                       

82) 리승만, “문화 사상에 큰 공적,” <성서한국> 한국어성서완역 희년특집호 (1960년 5월): 3.
83) 김윤경, “성서와 국어: 한글 보급의 선구 역할,” <성서한국> 한국어성서완역 희년특집호 (1960년 5월): 11. 84) 홍이섭, “성서와 사회 정치: 정치 사회에 끼친 기독교의 영향,” <성서한국> 한국어성서완역 희년특집호 (1960년 5월): 14.
85) 강길수, “성서와 교육: 기독교 교육에 영향 지대,” <성서한국> 한국어성서완역 희년특집호 (1960년 5월): 17.
86) 김우규, “성서와 문학: 한국 현대소설에 반영된 성서의 영향,” <성서한국> 한국어성서완역 희년특집호 (1960 년 5월): 25.
87) 주태익, “희곡 滿潮,” <성서한국> 6-2 (1960년 2월): 7.
88) 채기은, “새로운 성경번역이 절실히 요망된다,” <성서한국> 6-2 (1960년 2월): 8.

'[논문] 성경전서(1911) 번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전서 번역사 (p. 22)  (0) 2024.12.29
성경전서 번역사 (p. 21)  (0) 2024.12.29
성경전서 번역사 (p. 19)  (0) 2024.12.29
성경전서 번역사 (p. 18)  (0) 2024.12.29
성경전서 번역사 (p. 17)  (0) 2024.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