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성경전서(1911) 번역사

성경전서 번역사 (P. 2)

유니크 바이블(unique Bible) 2024. 12. 28. 15:13

p. 2

1. 《셩경젼셔》(1911)의 번역 과정과 번역 특징

 
번역 과정: 레널즈의 시기 구분을 중심으로
 
    레널즈는 성경전서를 완역했을 뿐만 아니라 1911년까지 한글 성경 번역사를 정리하고 그 시기를 구분한 장본인으로, 후대 사가들은 대개 그의 시기 구분을 수용하고 있다.2) 레널 즈의 시기 구분을 검토하면서 번역 과정을 살펴보자. 1906년 신약전서 공인본이 출판되자 레널즈는 번역사를 다음과 같이 해외 번역기와 국내 번역기로 나누어 정리했다.3)
 
I. 국외: 1. 만주의 로스, 1875-1889
            2. 일본의 이수정, 1883-1885
 
II. 국내: 1. 예비기: 여러 위원회와 개인적 준비, 1887-1893
             2. 번역자회 번역
                 1) 지나친 조직의 시기, 1893-1896
                 2) 방법의 단순화와 급속 출판 시기, 1897-1902
                 3) 재조직: 새 정관, 노력의 집중, 지속적인 번역자 독회, 1902-1906
 
    레널즈는 로스의 번역 시작 시점을 1875년으로, 그 종결 시점을 1889년으로 보았다. 로스가 한국인을 처음 만나 한국어를 배운 해가 1875년이었고, 신약전서가 완역되어 출판 된 해가 1889년이라고 잘못 알았기 때문이었다. 사실 로스가 이응찬을 고용하여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한 시점은 1876년이고, 1877년 《Corean Primer》를 발간한 후 복음서 번역에 들어갔으며, 번역을 완성한 시점은 1886년이었다.
 
    1893년 상임성서위원회가 재조직되고 공식번역자회가 임명되면서 본격적인 국내 번역 이 시작되었다. 번역자회 1회 모임이 1893년 10월 11일에 열렸을 때 번역자는 언더우드 (회장), 게일, 아펜젤러, 스크랜턴(서기) 등 4명이었다. 첫 3년간 개인역, 이를 수정한 임시 역, 번역자회 번역의 세 가지 본문을 만드는 신중한 과정으로 번역이 지연되고 한국교회의 성경 요구가 급증하자, 1897년부터 두 번째 임시역을 없애고 번역 방법을 두 단계로 줄이 면서, 번역에 속도가 붙었다. 그 결과 1897년에 골로새서, 베드로전후서, 1898년에 로마서, 고린도전후서, 빌립보서, 데살로니가전후서, 디도서, 히브리서, 야고보서, 요한일이삼서, 유 다서가 출판되었고, 나머지가 1900년에 출판되었다. 번역의 저본은 영어 개역본(RV)의 저 본인 그리스어 본문, 곧 1882년 옥스퍼드판 그리스어신약이었다. 1900년에 출판된 국내 첫 신약전서는 서신서의 경우 대부분 개인역이었으므로 번역자회의 ‘임시본’은 1904년에 완성 된다.
 
     1900년 후반부터 1902년까지 번역자들의 안식년 휴가로 번역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 았다. 1902년 봄 신약 후반부의 개인역에 대한 개정 작업이 진행되었으나, 6월 아펜젤러의 사망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1902년 말까지, 곧 번역자회 조직 10년 동안 4복음서, 사도행 전, 로마서까지 개정 본문이 출판되었다.4) 1904년 영국, 미국, 스코틀랜드의 세 성서공회가
 
                                                                         

2) 참고, 이덕주, “초기 한글성서 번역에 관한 연구--특히 성서번역자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글성서와 겨레 문화》(기독교문사, 1985), 409-505. 이 논문은 초기 한글 성경 번역사를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3) W. D. Reynolds,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into Korean," Korea Review (1906): 165-180.
4) G. H. Jones, "Translating the Bible in Korea," Worldwide Missions (May 190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