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7
후 한국 개신교는 용어논쟁을 거친 후 ‘하ᄂᆞ님’ 을 공인 용어로 사용하게 된다. 천주교의 프 랑스 신부들은 민간 신앙의 ‘하ᄂᆞᆯ님’을 알고 있었지만 보수적인 신학 때문에 이를 미신적인 기도의 대상으로 간주했다.22) 그러나 로스는 스코틀랜드장로교회의 진보적 복음주의와 19 세기 말에 발전하던 성취론을 수용하고 있었으므로 동아시아 종교의 부분적인 계시와 진리 를 수용했다. 한국의 선교사 번역자들(게일, 헐버트, 존스)은 로스보다 한 발 더 나아가 ‘하ᄂᆞ님’의 어원에 ‘하나’(유일성과 위대성)가 있다고 주장하고, 한국 고유의 ‘하ᄂᆞ님’은 하늘에 계신 위대하고 유일하신 성경의 하나님과 동일하다고 주창했다. 동시에 이들(헐버트, 게일, 언더우드, 레널즈)은 단군 신화에서 ‘하ᄂᆞ님’ 사상의 뿌리를 찾아내고 단군 이후 한국인은 유일하신 하나님을 섬겨온 일신론자였다고 주장했다.23)
이런 난관들과 개인역 단계에서의 지연과 40년이 지나도 성경전서를 완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주변의 비관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번역자회는 마태복음 공동 독회를 시작한 지 7년 반 만에 신약전서 공인 역본을 완성했고, 구약전서는 5년 반에 완성했다.24) 게일의 말 처럼 번역자들은 “성경 번역의 성업에 미력을 바쳤다는 것을 최상의 특권”으로 간주했다.25)
번역의 특징과 한글 성경 완역의 의미
1911년까지 번역, 출판된 한글 신약전서와 구약전서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신교 선교사가 한국에 오기 전에 만주와 일본에서 한국인의 손으로 성서가 번 역되기 시작했다.26) 심양과 요코하마에서 1882년부터 출판된 복음서가 국내에 유입되어 반 포되었다. 한국 개신교는 국경과 변경을 넘는 한글 성서의 번역과 반포로 시작되었고, 주변 부(의주)에서 중심부(서울)로, 밑(사농공상의 신분 사회에서 상인과 남존여비 성차별 사회 에서 여자)에서 위로, 안(개인 변화)에서 밖(사회 개혁)으로 움직이는 방향성을 지니게 되 었다. 만주에서 신약전서가 번역 출판되고 북한 지역에 먼저 복음이 전해짐으로써, 초기 선 교는 북한 지역에 집중되었고, 그 결과 해방 이전까지 북한 지역(평안도와 황해도) 교회가 개신교의 주류가 되었다. 1910년 이전 초기 한국 교회는 미국, 영국, 중국 개신교라는 세 외부 요소가 한국적 요소와 결합되면서 구형되었는데, 성경 사업은 이 네 요소의 결합 양 상, 특히 중국 (만주) 개신교의 영향을 보여주는 좋은 예였다.
둘째, 순 한글의 채택이다. 로스역본 신약전서는 순 한글을 사용했는데, 성경은 누구나 읽을 수 있는 민중의 일반 언어로 번역해야 한다는 로스의 번역 원칙 때문이었다. 로스는 의주 상인들에게 번역 원고를 읽어보게 하고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은 계속 수정했다. 로스 번역 팀에 의해 재발견되고 서울 번역자회에 의해 정책적으로 채용된 한글은 한국 종교의 민주화와 한국 민주주의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 로스의 서울말 채택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 국인 번역자들이 의주 출신이 많아 평안도 사투리가 많이 채택된 것은 서울 선교사들이 로 스역본을 거부하는 빌미가 되었다. 그러나 서울 번역자들의 경우 양반 출신의 한국인들을 조사로 채용함으로써 문자나 한문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한 것은 구역본의 약점이었다.
셋째, 로스부터 한글 성경 번역자들은 중국어(한문 문리본) 성경과 영어 (개역본) 성 경 외에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성경을 참고하되, 최신 사본 연구 결과가 반영된 그리스
22) S. Féron, Dictionnaire Français-Coréen 불한사전, 필사본, 1869 (한국교회사연구소, 2004, 영인본), 59.
23) Oak Sung-Deuk, "North American Missionaries’ Understanding of the Tan’gun and Kija Myths of Korea," Acta Koreana 5:1 (January 2002): 51-73.
24) Reynolds, ""How We Translated the Bible into Korean," 302.
25) Gale, Korea in Transition,
26) 김양선, “성서번역완성 50주년기념 한글성서번역 사전” <성서한국> 6-2 (1960년 2월: 5.
'[논문] 성경전서(1911) 번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전서 번역사 (p. 9) (0) | 2024.12.28 |
---|---|
성경전서 번역사 (p. 8) (0) | 2024.12.28 |
성경 전서 번역사 (p. 6) (0) | 2024.12.28 |
성경전서 번역사 (p. 5) (0) | 2024.12.28 |
성경전서 번역사 (p. 4) (0) | 202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