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16
으로 신구약 713권, 신약 9178권, 단편 등 계 279,161권을 반포하는 실적을 올렸다.59) 두 공회는 권서 300 여 명으로 100만 권 이상을 반포했다.60)
[표 1]에서 보듯이 1911년에 출판된 성경전서는 1913년까지 매진되었음을 알 수 있 다. 또한 반포한 성서의 95% 정도가 단권성경(쪽복음)으로, 이는 불신자를 대상으로 한 가 장 값싼 전도용 단권 성경 판매가 반포 사업의 주 내용이었음을 보여준다.61) 다음 [표 2] 의 통계 역시 권서의 비중을 반증해 준다.
[표 1]과 [표 3]에서 보듯이 권서들의 반포는 1914-16년을 정점으로 하여 폭발적으 로 증가했는데, 부인권서의 실적도 이 때 급증했다. 그러나 부인권서의 반포는 남자 권서의 5-6% 수준에 머물렀다.
[표 3] 영국성서공회 한국지부 반포, 1901-1940 62)

권서의 역할: 전도 운동, 한글 운동, 민족 운동
권서와 전도 운동: 교회 개척의 선구자 전도와 교회 개척에 대한 권서의 선구자적 역 할에 대해서 선교사들은 ‘다이너마이트로 암석 깨기’(dynamiting the rock)63)나 ‘최전방의 명사수’(sharp shooters on the advanced line)64), 혹은 기독교가 외국 종교라는 편견을 무 장 해제하는 자, 선발대, 세례요한65) 둥에 비유했다. 권서의 신발보다 더 위대한 설교단은 없었다. 권서는 교회가 없는 지역에 가서 성서만 판매하는 자가 아니라, 불신자들 가운데
59) “조선 내 성서사업” <基督申報>, 1918년 5월 22일. 한 해 동안의 반포량은 그 기간에 따라 다른 수치를 보일 수 있다.
60) 성서 100만 권 반포는 1960년에 재현되었다. (“혼탁한 현실 속에서도 퍼져가는 성서: 성서 반포 100만권을 돌파,” <성서한국> 6-5 [1960년 12월]: 3.)
61) Thomas Hobbs, "The Colporteur as a Preacher," Korea Mission Field (Oct. 1916): 273.
62) 《대한성서공회사 2》, 306.
63) Jones, The Bible in Korea or the Transformation of a Nation, 10.
64) Hugh Miller, "Scripture Distribution," 283.
65) Hugh Miller, "Colportage," Korea Mission Field (May 1914): 137.
'[논문] 성경전서(1911) 번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전서 번역사 (p. 18) (0) | 2024.12.29 |
---|---|
성경전서 번역사 (p. 17) (0) | 2024.12.29 |
성경전서 번역사 (p. 15) (0) | 2024.12.29 |
성경전서 번역사 (p. 14) (0) | 2024.12.29 |
성경전서 번역사 (p. 13) (0)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