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성경전서(1911) 번역사

성경전서 번역사 (p. 23, 24)

유니크 바이블(unique Bible) 2024. 12. 29. 01:27

p. 23~24

 

                          참고문헌

 

강길수, “성서와 교육: 기독교 교육에 영향 지대,” <성서한국> 한국어성서완역 희년특집호 (1960년 5월): 16-19.

기독신보, “광고,” <基督申報> 1916년 3월 29일.

-----. “대영성서공회 광고,” <基督申報>, 1916년 8월 9일.

-----. “대영성서공회와 대미국성서공회 광고,” <基督申報>, 1917년 6월 1일.

-----. “개인소식” <基督申報>, 1917년 11월 28일.

-----. “대영성서공회 광고,” <基督申報>, 1918년 1월 9일.

-----. “성서 급 전파의 필요,” <基督申報>, 1918년 5월 15일.

-----. “조선 내 성서사업” <基督申報>, 1918년 5월 22일.

-----. “社說: 世界的二大勢力에셔 脅迫밧을 朝鮮敎會,” <基督申報>, 1919년 9월 24일.

-----. “대영성서공회 광고,” <基督申報>, 1920년 3월 17일.

김양선, “성서번역완성50주년기념 한글성서번역사전” <성서한국> 6-2 (1960년 2월): 5-6.

김우규, “성서와 문학: 한국 현대소설에 반영된 성서의 영향,” <성서한국> 한국어성서완역 희년특집‘ 호 (1960): 24-30.

김윤경, “성서와 국어: 한글 보급의 선구 역할,” <성서한국> 한국어성서완역 희년특집호 (1960년 5 월): 11-12. 김찬국, “성서 ‘새 번역’에 대한 제언,” <성서한국> 6-3 (1960년 6월): 3-6.

대영성서공회, “聖書公會의 關係와 機關說,” <基督申報>, 1916년 5월 10일.

독립신문, “잡보,” <독닙신문>, 1897년 4월 24일.

리승만, “문화 사상에 큰 공적,” <성서한국> 한국어성서완역 희년특집호 (1960년 5월): 3.

매일신보, “잡보,” <每日申報>, 1909년 12월 29일.

민휴 (Hugh Miller), “성경 공부의 긴요” <基督申報>, 1919년 4월 30일.

백낙준, “영원히 켜져 있는 등불,” <성서한국> 한국어성서완역 희년특집호 (1960년 5월): 8-10.

성서한국, “방송 좌담회: 성서와 우리문화,” <성서한국> 한국어성서완역 희년특집호 (1960년 5월): 42-46.

----. “혼탁한 현실 속에서도 퍼져가는 성서: 성서 반포 100만권을 돌파,” <성서한국> 6-5 (1960 년 12월): 3.

양주삼 정태응 편, 《閔休先生實記》. 대영성서공회 조선지부, 1938.

옥성득, “첫 한글 성경전서의 출판, 1911: 민족의 복음화는 언어의 복음화에서 시작된다,” <빛과 소 금> (2010년 12월): 119-123.

----. “언더우드의 성경번역,” <성서한국> 52-3 (2006 가을) - 53-3(2007년 가을).

----.《대한성서공회사 역사자료집 3: 밀러 서신》, 대한성서공회, 2011.

---- 이만열, 《대한성서공회사 1》. 대한성서공회, 1993.

---- 이만열 류대영, 《대한성서공회사 2》. 대한성서공회, 1994.

---- 이만열, 《대한성서공회 역사자료집 2: 켄뮤어 서신, 1900-1905》. 대한성서공회, 2007.

---- 이만열, 《언더우드자료집》 전5권, 연세대국학연구원, 2005-2010.

이광수, “야소교가 조선에 준 은혜,” <청춘> (1919년 7월).

이덕주, “초기 한글성서 번역에 관한 연구--특히 성서번역자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글성서와 겨 레문화》. 기독교문사, 1985, 409-505.

이상현, “언더우드의 이중어사전 간행과 한국어의 재편 과정,” <동방학지> 151 (2010년 9월): 223-278.

주태익, “희곡 滿潮,” <성서한국> 6-2 (1960년 2월): 7.

채기은, “새로운 성경번역이 절실히 요망된다,” <성서한국> 6-2 (1960년 2월): 8-11. 24

최상현, “한글 운동에 대하야,” <基督申報>, 1927년 11월 2일.

한경직, “영영한 기초” <성서한국> 한국어성서완역 희년특집호 (1961년 5월): 5-7.

許燁 (Thomas Hobbs), “대영셩셔공회ᄉᆞ업,” <基督申報>, 1917년 5월 23일.

홍이섭, “성서와 사회 정치: 정치 사회에 끼친 기독교의 영향,” <성서한국> 한국어성서완역 희년특집 호 (1960년 5월): 12-14.

 

American Bible Society, Annual Report of the American Bible Society. New York: ABS, 1906-1920. Bonwick, Gerald. "The Year's Work of the 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 Korea Mission Field (July 1912): 212-213.

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 Annual Reports of the Korea Agency, 1911-1921.

--------------. "Editorial Report," BFBS Annual Report for 1903 (London, BFBS, 1903), 446.

Cram, William G. "The Bible Society as an Evangelistic Agency," Korea Mission Field (April 1912): 120.

Féron, S. Dictionnaire Français-Coréen 불한사전. 필사본, 1869 (한국교회사연구소, 2004).

Gale, James S. A Letter to Arthur J. Brown, January 19, 1904. (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Correspondence and Report of the Korea Mission of the PCUSA, Microfilm reel #280)

--------------. Korea in Transition. New York: Young People's Missionary Movement of the US and Canada, 1909.

--------------. "Personal Annual Report, June 1910" (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Correspondence and Report of the Korea Mission of the PCUSA, Microfilm reel #285, vol. 244.)

--------------. "Bible Translation," Korea Mission Filed (January 1917): 6-8.

Hobbs, Thomas. "The Colporteur as a Preacher," Korea Mission Field (October 1916): 273.

Jones, George H. "Translating the Bible in Korea," Worldwide Missions (May 1903): 4-5.

--------------. The Bible in Korea or the Transformation of a Nation. New York: American Bible Society, 1914.

Korea Mission Field. “Notes and Personals," Korea Mission Field (March 1911): 66.

McEachern, J. "A Colportage Tour," Korea Mission Field (September 1913): 249-250.

McKenzie, Frederick A. Korea's Fight for Freedom. New York: F. H. Revell, 1920.

Miller, Hugh. "Scripture Distribution," Korea Mission Field (Oct. 1911): 283.

---------------. "Colportage," Korea Mission Field (May 1914): 137-138.

Oak, Sung-Deuk, "North American Missionaries’ Understanding of the Tan’gun and Kija Myths of Korea," Acta Koreana 5:1 (January 2002): 51-73.

Reynolds, William R.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into Korean," Korea Review (1906): 165-180.

---------------. "The Board of Bible Translators," Korea Mission Field (April 1906): 103-104.

---------------. "How We Translated the Bible into Korean," Union Seminary Magazine XXII (1910-1911): 292-303.

Underwood, Horace G. “Bible Translation" Korea Mission Field (October 1911): 296-297.

Vesey, F. G. "Korean Vignettes," Bible in the World (August 1912): 242.

'[논문] 성경전서(1911) 번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전서 번역사 (p. 22)  (0) 2024.12.29
성경전서 번역사 (p. 21)  (0) 2024.12.29
성경전서 번역사 (p. 20)  (0) 2024.12.29
성경전서 번역사 (p. 19)  (0) 2024.12.29
성경전서 번역사 (p. 18)  (0) 2024.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