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성경전서(1911) 번역사

성경전서 번역사 (p. 11)

유니크 바이블(unique Bible) 2024. 12. 29. 00:01

p. 11
 
20,000부가 1912년에 발행되어 성경 공부에 도움을 주었다.
 
     1911년 성경전서의 출판 의의는 다음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기독교화된 한글 (한글의 救贖)35): 성경 번역은 하나님의 말씀을 본토 토박이말 로 육화하는 소통 작업이다. 한글 성경은 입말(구어)로만 살던 인구의 90% 이상의 문맹에 게 ‘언문’으로 천대받던 한글을 발굴하여 당당한 민중의 글말(문어)로 만들어 주었다. 이광 수의 말처럼 “한글도 글이라는 생각을 조선인에게 준 것은 실로 예수교회”였다.36) 성경 문 자로서의 한글 채택은 한국인의 삶의 복음화뿐만 아니라 언어의 성화와 언어의 복음화를 가 져왔다.
 
     둘째, 성경에 흠뻑 젖은 교회37): 한국 초대 교회는 성경을 사랑하는 교회, 성경을 읽는 교회, 성경을 공부하는 교회, 성경을 외우는 교회, 성경을 전하는 교회, 성경대로 사는 성경 중심의 교회였다. 전 교인이 1년 1회 이상 모든 일을 멈추고 사경회에 참석하여 성경을 책 별로 깊이 배우고, 주일마다 전체 교인이 주일학교에서 성경을 배우는 제도는 한국 교회 특 유의 성경 공부 방법, 평신도 훈련, 교회 지도자 육성 방법이었다. 성경 다독, 성경 필사, 성 경 암송이 널리 행해져서 복음서 전체를 외우는 자들이 많았다. 1910년대 후반부터 성경연 성회, 성경구락부 등이 조직되면서 매일 성경 읽기 운동이 전개되었다.
 
     셋째, 한국을 성서 위에 올려놓는 교회: 성경 번역과 출판은 언어와 교회 변혁을 넘어 민족의 변혁을 가져왔다. 400년간 무시당하던 한글이 먼지를 털고 성경의 옷을 입고 나서 자 그 우수성과 편리성과 풍부성은 말씀 전파에 크게 쓰임 받았다. 고상한 한글 경전 문체 의 계발은 한글의 지위를 격상시켰고, 다양한 표현과 고상한 사상을 담는 한글 어휘의 재발 견은 민족 문화 발전의 첫 걸음이 되었다. 나아가 민중 언어가 성경 언어로 격상되면서 민 중의 지적 발전을 가져왔고, 이는 경제적 자립과 신분 해방의 토대가 되었다.38) 즉 입말과 글말이 일치하게 되자 한문과 양반층에 짓눌려 살던 사람들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 진리가 자유롭게 하는 세상을 꿈꾸게 되었다. 당시 전 인구의 90% 이상이 글을 읽지 못했는데, 세 례 규칙에 복음서 읽기가 들어가면서, 수 만 명이 넘던 백정과 천민, 수 십 만 명이 넘던 종과 머슴들, 수 백 만 명의 가난한 소작농이나 빈농, 부녀자들이 한글을 익히게 되면서 언 문일치의 시대가 열렸다. 1911년 성경전서에는 한글 자모표가 삽입되어 문맹 퇴지 운동에 사용되었다. 또한 교회가 앞장 선 노예제 폐지, 조혼제 금지, 처첩제 금지, 공창제 반대, 여 성교육 지지, 남녀평등 지지 등은 여성의 지위 향상을 가져왔다. 성경을 읽고 자란 첫 세대 라고 할 수 있는 1910년대의 기독 학생들--1912년 105인 사건 때 검거된 선천중학교 학 생들, 1919년 삼일운동에 적극 참여한 학생들--은 민주주의, 민족주의, 독립의식이 강했 다. 맥켄지는 성경을 읽은 세대가 폭정을 만나면 그 세대가 멸절되거나 폭정이 종식된다고 평가했다.39)
 
<기독신보> 광고와 기사를 통해 본 출판 사업과 성서주일 기념, 1916-1920
 
                                                                         

35) G. H. Jones, The Bible in Korea or the Transformation of a Nation (New York: American Bible Society, 1914), 8-9. 이 20페이지의 소책자는 The Bible Magazine에 실린 존스의 글을 재인쇄한 것이다.
36) 이광수, “야소교가 조선에 준 은혜,” <청춘> (1919. 7). “한글도 글이라는 생각을 조선인에게 준 것은 실로 예수교회외다. 귀중한 신구약과 찬송가가 한글로 번역되며, 이에 비로소 한글의 권위가 생기고 또 보급된 것 이요.... 아마 조선 글과 조선 말이 진정한 의미로 고상한 사상을 담은 그릇이 됨은 성경의 번역이 시초일 것 이요 만일 후일에 조선 문학이 건설된다 하면 그 문학사의 제1면에는 신구약의 번역이 기록될 것이외다.”
37) Jones, The Bible in Korea or the Transformation of a Nation, 8.
38) Ibid., 4-5.
39) Frederick A. McKenzie, Korea's Fight for Freedom (New York: F. H. Revell, 1920), 50

'[논문] 성경전서(1911) 번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전서 번역사 (p. 13)  (0) 2024.12.29
성경전서 번역사 (p. 12)  (0) 2024.12.29
성경전서 번역사 (p. 10)  (0) 2024.12.28
성경전서 번역사 (p. 9)  (0) 2024.12.28
성경전서 번역사 (p. 8)  (0) 2024.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