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20

성경전서 번역사 (p. 8)

p. 8 어 신약(Palmer's edition)과 히브리어 성경을 저본으로 채택했다.27) 나중 된 자가 처음 되 듯이, 한글 성경 번역은 19세기 말에 시작되었으나 영어, 한문, 일본어 성경에 뒤지지 않는 좋은 번역 성경을 만들 수 있었다. 넷째, 번역 방법과 원칙에서 로스의 의역과 직역의 조화, 언더우드의 직역 원칙과 천 주교 한글 연구 성과 수용, 게일의 한국어 용례에 맞는 줄인 번역과 의역, 레널즈의 문학적 인 번역이 종합되었다. 초기 한글 성경은 언더우드의 직역 원칙을 근간으로 하되 다양한 번 역 이론과 방법을 수용함으로써 한 권의 연합 성경이 추구할 모델을 수립했다. 곧 구역 성 경전서는 직역에 의역을 가미한 유연한 번역이었다. 동시에 다양한 다른 번역본이 공존하지 않는 상황적 ..

성경전서 번역사 (p. 7)

p. 7 후 한국 개신교는 용어논쟁을 거친 후 ‘하ᄂᆞ님’ 을 공인 용어로 사용하게 된다. 천주교의 프 랑스 신부들은 민간 신앙의 ‘하ᄂᆞᆯ님’을 알고 있었지만 보수적인 신학 때문에 이를 미신적인 기도의 대상으로 간주했다.22) 그러나 로스는 스코틀랜드장로교회의 진보적 복음주의와 19 세기 말에 발전하던 성취론을 수용하고 있었으므로 동아시아 종교의 부분적인 계시와 진리 를 수용했다. 한국의 선교사 번역자들(게일, 헐버트, 존스)은 로스보다 한 발 더 나아가 ‘하ᄂᆞ님’의 어원에 ‘하나’(유일성과 위대성)가 있다고 주장하고, 한국 고유의 ‘하ᄂᆞ님’은 하늘에 계신 위대하고 유일하신 성경의 하나님과 동일하다고 주창했다. 동시에 이들(헐버트, 게일, 언더우드, 레널즈)은 단군 신화에서 ‘하ᄂᆞ님’ 사상의 뿌리..

성경 전서 번역사 (p. 6)

p. 6 에 참여해 보지 않은 자는 그 사역을 짐작하거나 계산할 수 없다. 책 전체에는 약 1백만 7천 개의 음절이 있다. 이것을 세 번씩 읽고 검토하고 반복하고 조심스럽게 노트를 하는 것은 눈과 생각을 5백만 번 이상 집중하는 것을 의미한다. 길 고 지루한 과정을 물론 여러 사람이 나누어서 했지만, 사역의 대부분은 두 세 사람에게 떨어졌다.16) 레널즈도 1911년 번역의 어려움을 정리하면서, 미국인, 한국인, 일본인이 함께 일한 성경전서 작업에서 각자 다른 어려움이 있었다고 썼다.17) 첫째, 미국인 번역자는 무엇보다 본문의 정확한 의미 이해와 그 번역의 어려움을 겪었 다. 특히 “레위기의 제사법, 성막 건축에 대한 상세한 지침, 성전의 묘사, 이사야의 예언적 도망..

성경전서 번역사 (p. 5)

p. 5 한국어에는 이 추상적이고 영적인 진리를 표현하는 말이 없었기 때문에 새로운 표현을 만들거 나 그림과 설명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했다. 그러나 그들이 이 의미를 상당 부분 이해했을 때 에도 다른 어려움이 있었는데, 그들이 일반 대중이 이해할 수 없는 딱딱한 고어체인 한자식 한 국어로 표현 하지 않도록 감독하는 것이었다. 이것이 동양 학자들의 고질적인 성향이었고, 충 분히 명료하고 단순한 용어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은 흔히 거의 불가능했다. 그래서 특히 처음 에는 복음서의 서너 절을 번역하는 데 때때로 하루 종일을 보내기도 했는데, 먼저 원문의 의미 에 대해서 번역자들 사이에 토론하고, 그 후에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에 대해서 한국인들과 지 겨울 정도로 오랫동안 토의하고 논쟁했다.12) 선교..

성경전서 번역사 (p. 4)

p. 4 총무가 서울을 방문했을 때, 이 안을 계속 지지했다. 1908년 1월 전주의 전킨 목사가 사망 하자 레널즈는 전주 선교지부의 선교 사역을 위해서 내려가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레널 즈는 전주에서도 동일한 시간을 구약 번역에 투자한다는 조건으로 전주에 갔고, 이승두와 김정삼도 동행했다. 구약은 신약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다. 이야기체가 많고, 경험이 쌓 인 번역자 3인이 함께 거주하면서 진행했기 때문이었다.9) 마침내 1910년 4월 2일 오후 5 시에 구약의 마지막 구절이 번역되었다. 게일(James S. Gale)이 번역하고 언더우드가 수정 한 예레미야서를 제외한 모든 구약의 책들을 전주에서 최종 번역했다. 레널즈는 번역 장소, 번역자, 역본(개인역본, 임시역본, 공인역본)의 ..

성경전서 번역사 (P. 3)

P. 3    한국에 연합지부를 설치하고 여러 선교회들과 협력하면서 성서사업은 초교파적인 연합 사업 으로 자리 잡았다. 아펜젤러를 대신해 남장로회의 레널즈가 1902년 전주에서 서울로 이전 하여 번역에 전념하게 되고, 북장로회가 서울의 언더우드와 게일에게 신약 번역을 주 임무 로 임명하면서, 신약 공인본 번역이 본격화되었다. 1902년 10월부터 1906년 3월까지 이들 은 555회의 독회를 열었다. 1904년에는 신약 절반을 재수정했으며, 1905년에는 서울 감리 회출판사에서 수정본을 인쇄했고, 1906년에는 고린도후서까지 공인 본문인 신약전서를 동 경에서 출판할 수 있었다.5) 번역자회 독회는 주 5일 오전 8:30-12:30에 열렸고 오후 2-4 시에 모이는 날도 있었다. 선교사의 개인역을 놓고 한..

성경전서 번역사 (P. 2)

p. 21. 《셩경젼셔》(1911)의 번역 과정과 번역 특징 번역 과정: 레널즈의 시기 구분을 중심으로 레널즈는 성경전서를 완역했을 뿐만 아니라 1911년까지 한글 성경 번역사를 정리하고 그 시기를 구분한 장본인으로, 후대 사가들은 대개 그의 시기 구분을 수용하고 있다.2) 레널 즈의 시기 구분을 검토하면서 번역 과정을 살펴보자. 1906년 신약전서 공인본이 출판되자 레널즈는 번역사를 다음과 같이 해외 번역기와 국내 번역기로 나누어 정리했다.3) I. 국외: 1. 만주의 로스, 1875-1889 2. 일본의 이수정, 1883-1885 II. 국내: 1. 예비기: 여러 위원회와 개인적 준비, 1887-1893 2. 번역자회 번역 ..

성경전서 번역사 (P. 1)

p. 1  구역본 성경전서(1911)의 번역, 출판, 반포의 역사적 의미       옥성득 (UCLA, 한국기독교 석좌 교수)                               서론       기독교는 말씀의 종교요 번역의 종교이다. 이슬람교가 아랍어를 거룩한 언어로 여기고 코란의 번역을 금지하는 근본주의를 고수하는 반면, 하나님의 말씀인 기독교의 성경은 한 지역의 본토말로 토착화되는 번역성과 다양성을 지향하며, 이 성육신의 원리는 기독교 선교 의 첫째 원리가 된다. 예수는 한 지역의 말과 문화로 번역되고 육화하면서 수평적으로 확장 되는 동시에, 인간의 죄악성에 도전하는 새 언어와 대안 문화를 창출하는 수직성을 지향한 다. 다양한 문화의 옷을 입은 번역된 예수의 모습들이 함께 모여 종말의 우주적 그리..

여호수아 24장

24장   여호수아가 세겜에 모인 백성에게 이르다   1.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모든 지파를 세겜에 모아, 이스라엘 장로들과 우두머리들과 재판장들과 관원(관리)들을 부르니, 그들이 하나님 앞에 서거늘, 2. 여호수아가 모든 백성에게 이르되,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 옛적에 너희 열조 곧 아브라함과 나홀의 아비 데라가 강 저편에 거하여 다른 신들을 섬긴지라.  3. 내가 너희 조상 아브라함을 강 저편에서 취하여 인도하여, 가나안 온 땅을 두루 행하게 하고, 그 자손을 번성케 하였으니, 곧 이삭을 주었고,  4. 이삭에게 야곱과 에서를 주고, 에서에게는 세일산을 주어 기업을 삼게 하였으나, 야곱과 그 자손들은 애굽에 내려간지라,  5. 또 내가 모세와 아론을 보내어, 애굽에 재앙을 내려 그 가운데서 ..

여호수아 23장

23장    여호수아의 마지막 말   1.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평강을 주어, 사면(四面) 모든 대적을 이기게 하신 후, 여러 날이 지났고, 여호수아가 나이 많아 늙은지라.2.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무리와 그 장로들과 두목들과 재판장들과 관원들을 불러 이르되, 나는 나이 많아 늙은지라. 3.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를 위하여, 이 모든 나라에 행하신 일을 너희가 보았으니, (대개)(무엇보다)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를 위하여 싸우셨느니라. 4. 볼지어다, 요단으로부터 해지는 편 대해(大海)까지, 내가 이미 멸절한 모든 나라들과 이 남아 있는 나라들을, 내가 너희를 위하여 제비 뽑아 나누어, 너희 지파에게 기업이 되게 하였노라. 5.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들을 너희 앞에서 쫓아내사, 너희 목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