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8 어 신약(Palmer's edition)과 히브리어 성경을 저본으로 채택했다.27) 나중 된 자가 처음 되 듯이, 한글 성경 번역은 19세기 말에 시작되었으나 영어, 한문, 일본어 성경에 뒤지지 않는 좋은 번역 성경을 만들 수 있었다. 넷째, 번역 방법과 원칙에서 로스의 의역과 직역의 조화, 언더우드의 직역 원칙과 천 주교 한글 연구 성과 수용, 게일의 한국어 용례에 맞는 줄인 번역과 의역, 레널즈의 문학적 인 번역이 종합되었다. 초기 한글 성경은 언더우드의 직역 원칙을 근간으로 하되 다양한 번 역 이론과 방법을 수용함으로써 한 권의 연합 성경이 추구할 모델을 수립했다. 곧 구역 성 경전서는 직역에 의역을 가미한 유연한 번역이었다. 동시에 다양한 다른 번역본이 공존하지 않는 상황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