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18

성경전서 번역사 (p. 16)

p. 16 으로 신구약 713권, 신약 9178권, 단편 등 계 279,161권을 반포하는 실적을 올렸다.59) 두 공회는 권서 300 여 명으로 100만 권 이상을 반포했다.60) [표 1]에서 보듯이 1911년에 출판된 성경전서는 1913년까지 매진되었음을 알 수 있 다. 또한 반포한 성서의 95% 정도가 단권성경(쪽복음)으로, 이는 불신자를 대상으로 한 가 장 값싼 전도용 단권 성경 판매가 반포 사업의 주 내용이었음을 보여준다.61) 다음 [표 2] 의 통계 역시 권서의 비중을 반증해 준다. [표 1]과 [표 3]에서 보듯이 권서들의 반포는 1914-16년을 정점으로 하여 폭발적으 로 증가했는데, 부인권서의 실적도 이 때 급증했다. 그러나 부인권서의 반포는 남자 권서의 5-6%..

성경전서 번역사 (p. 15)

p. 15 458,694권의 성서를 반포했는데, 이는 전년도에 비해 3배가 늘어난 수치였다. 1910년대 초 에 한국 출판의 절반 이상이 성경을 포함한 기독교 문서였다. 또한 이는 개신교 선교 첫 세 대에 한국의 모든 사람에게 최소한 성경 한 권(낱권 성경 포함)을 주었음을 의미했다.55) 다음 [표 1]에서 보듯이 1914년-1918년의 5년간은 한글 성경 반포사업의 최전성기 였다. 미국성서공회의 반포량을 합하면 이 기간에 연간 성경 반포량이 100만 권을 넘었다. 그러나 이후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연 평균 70만 권 수준에 머물렀다. [표 1] 영국성서공회 한국지부의 성경 반포, 1911~1920 56) 성경/구약전서 신약전서 단편성경 계 1..

성경전서 번역사 (p. 14)

p. 14 1919년 성서주일을 맞아 밀러 총무는 4월 30일 사설에 “성경 공부의 긴 요”라는 미국 대통령 윌슨의 과거 연설문을 번역하여 실었다. 다음은 그 요약이다. 1. 일반 교육과 교회 교육의 차이: 물질적 신발명과 과학적 사상이 성경의 가르침을 방해하지 않는다. 새 학설과 신발명은 모두 하나님께서 만드신 피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 학교는 만물 에 드러난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고, 교회는 기록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가르친다. 2. 성 경의 제일(齊一): 성경은 건전하고 가지런하며 순결하며 허문이 없다. 선지자나 사도라도 허물 과 결점까지 있는 그대로 적었다. 이를 통해 각자 영혼을 찾게 한다. 3. 성경과 인생: 무형한 것과 싸우는 인생에게 중요한 것은 자기의 마음을 다스리는 자제력이다...

성경전서 번역사 (p. 13)

p. 13 예수교서회가 함께 일부 부정직한 권서에 대해 주의를 환기하는 광고를 실었다. 물가 상승 에 따라 서적 가격이 변경되고 판매량이 줄어들자 이를 악용한 경우가 있었음을 알 수 있 다. 공회와 서회는 이런 폐단이 발견된 권서에게는 서적을 공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46) 5월 성서주일 기념과 성서사업 인식 1899년 5월부터 매년 5월 첫 주일 (1910년대에는 마지막 주일)은 모든 교회가 성서 공회 주일로 지키고 공회 사업 지원을 위해서 연보했다. 각 교회의 성서주일 예배를 위해서 공회와 신문 편집인은 5월 중순 무렵 에 1년간의 성서공회 사업을 정리해서 보 고하고, 성경과 공회의 중요성을 알렸는데, 이를 통해서 우리는 공회의 자기 인식 혹은 당 시 한국교회의 공회와 성서사업에 대한 인..

성경전서 번역사 (p. 12)

p. 12 1915년 말 가 창간되자 1916년 3월부터 영국성서공회와 미국성서공회는 주기적인 광고를 통해 신간과 공회 사업을 알리고 교회의 협조를 구했다. 그 첫 광고를 현 재 맞춤법으로 옮기면 다음과 같다. 京城 鐘路 대영성서공회 大英聖書公會 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 사무엘서상하 合編四號字紙衣 정가 6전, 마태복음 단편, 상동, 2전. 이 책은 금년 주일공부에 본과이온바 본 공희의 현존이오니 남녀 모든 교우는 다소간 소용을 따라서 교회 각 책사에나 권서에게나 혹 본 공회로 청구하소서. 운임이나 유료는 본 공회에서 지출하나이다. 이외에 모 든 장책의 성서를 구비하였사오며, 교회에서 전도로 원가 5원 이상의 성서를 주문하는데 대하 여는 구약과 신약전서에 ..

성경전서 번역사 (p. 11)

p. 11 20,000부가 1912년에 발행되어 성경 공부에 도움을 주었다. 1911년 성경전서의 출판 의의는 다음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기독교화된 한글 (한글의 救贖)35): 성경 번역은 하나님의 말씀을 본토 토박이말 로 육화하는 소통 작업이다. 한글 성경은 입말(구어)로만 살던 인구의 90% 이상의 문맹에 게 ‘언문’으로 천대받던 한글을 발굴하여 당당한 민중의 글말(문어)로 만들어 주었다. 이광 수의 말처럼 “한글도 글이라는 생각을 조선인에게 준 것은 실로 예수교회”였다.36) 성경 문 자로서의 한글 채택은 한국인의 삶의 복음화뿐만 아니라 언어의 성화와 언어의 복음화를 가 져왔다. 둘째, 성경에 흠뻑 젖은 교회37): 한국 초대 교회는 성경을 사랑하..

성경전서 번역사 (p. 10)

p. 10      그러나 교인 증가로 인해 신약전서 수요가 급증하자, 1904년 켄뮤어 총무는 이를 만 족시키고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일본에 가서 신약전서 인쇄와 교정을 책임졌다. 그러나 전 쟁으로 인한 우편업무의 비정상, 한글을 모르는 일본인 식자공이 ᄀᆞㅣ-긔, 지-거, ㅁ-ㅂ, ㄴ -ㄷ, ㅅ-ㅈ 등 비슷한 글자들의 혼용, 선교회들의 요구로 번역자회가 개정철자를 포기하고 구 철자법으로 돌아가면서 혼동을 일으켜 개정 이전의 옛 본문을 제공한 점, 켄뮤어의 한글 실력과 교정 전문성 부족 등으로 1904년 12월에 출판된 신약전서는 1,000개가 넘는 오류 를 가지게 되었다. 예를 들면 “하ᄂᆞ님의 땃”(the will of God)이 “하ᄂᆞ님의 딸”(the daughter of God)로 인쇄되었다...

성경전서 번역사 (p. 9)

p. 9  영사전, 한국어 문법서를 출판했는데, 이들의 근대 한국어의 형성 과정을 보여주는 가장 귀 중한 자료들이다.30) 이들의 근대 한국어 구어와 문어 어휘의 창조와 정리, 한국어 문법의 체계화에 대한 기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언더우드와 게일이 1897년 부터 편집 간행한 은 당대의 구어와 문어를 조화시켜 새로운 한국어를 창 출하는 실험장이었고, 이를 통해 성서 번역을 개선해 나갔다. 게일의 《韓英字典A Korean-English Dictionary》만 보더라도, 1897년 초판(1,168면)은 35,000단어를 수록했 다. 당시 독립신문은 게일의 이 사전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호평했다.  죠션 사ᄅᆞᆷ들이 이 책을 가졋스면 죠션 말들을 똑똑히 배홀터이오 조션 글ᄌᆞ를 엇더케 쓰..

성경전서 번역사 (p. 8)

p. 8 어 신약(Palmer's edition)과 히브리어 성경을 저본으로 채택했다.27) 나중 된 자가 처음 되 듯이, 한글 성경 번역은 19세기 말에 시작되었으나 영어, 한문, 일본어 성경에 뒤지지 않는 좋은 번역 성경을 만들 수 있었다. 넷째, 번역 방법과 원칙에서 로스의 의역과 직역의 조화, 언더우드의 직역 원칙과 천 주교 한글 연구 성과 수용, 게일의 한국어 용례에 맞는 줄인 번역과 의역, 레널즈의 문학적 인 번역이 종합되었다. 초기 한글 성경은 언더우드의 직역 원칙을 근간으로 하되 다양한 번 역 이론과 방법을 수용함으로써 한 권의 연합 성경이 추구할 모델을 수립했다. 곧 구역 성 경전서는 직역에 의역을 가미한 유연한 번역이었다. 동시에 다양한 다른 번역본이 공존하지 않는 상황적 ..

성경전서 번역사 (p. 7)

p. 7 후 한국 개신교는 용어논쟁을 거친 후 ‘하ᄂᆞ님’ 을 공인 용어로 사용하게 된다. 천주교의 프 랑스 신부들은 민간 신앙의 ‘하ᄂᆞᆯ님’을 알고 있었지만 보수적인 신학 때문에 이를 미신적인 기도의 대상으로 간주했다.22) 그러나 로스는 스코틀랜드장로교회의 진보적 복음주의와 19 세기 말에 발전하던 성취론을 수용하고 있었으므로 동아시아 종교의 부분적인 계시와 진리 를 수용했다. 한국의 선교사 번역자들(게일, 헐버트, 존스)은 로스보다 한 발 더 나아가 ‘하ᄂᆞ님’의 어원에 ‘하나’(유일성과 위대성)가 있다고 주장하고, 한국 고유의 ‘하ᄂᆞ님’은 하늘에 계신 위대하고 유일하신 성경의 하나님과 동일하다고 주창했다. 동시에 이들(헐버트, 게일, 언더우드, 레널즈)은 단군 신화에서 ‘하ᄂᆞ님’ 사상의 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