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18

사사기 3장

3장   그땅에 남겨두신 사람들    1. 여호와께서 이 열국(列國)을 남겨 둔 것은, 이스라엘을 시험하시려 하심이니, 곧 가나안 전쟁을 알지 못한 자들에 대(對)함이라. 2. 이스라엘 자손의 세대(世代) 중에, 본래 전쟁을 알지 못한 자들을 가르쳐 알게 하려 하심이니, 3. 남겨 두신 열국(列國)은 곧 블레셋 다섯 방백(方伯)과 가나안 모든 사람과 시돈 사람과 바알 헤르몬 산으로부터 하맛 어귀까지 레바논 산에 거하는 히위 사람이라. 4. 이 열국으로 이스라엘을 시험하사, 여호와께서 모세의 손에 부탁하여, 그 열조에게 명하신 모든 명령을 듣나, 아니 듣나, 알고자 하심이라.  5. 이스라엘 자손이 가나안 사람과 헷 사람과 브리스 사람과 히위 사람과 여부스 사람의 사이에 거하고, 6. 그 여자를 취하여 아..

사사기 2장

2장 여호와의 사자(使者)가 보김에 나타나다 1. 여호와의 사자(使者)가 길갈로부터 보김에 이르러 가로되, 내가 너희로 하여금 애굽에서 나오게 하고 인도하여, 너희 열조에게 맹세한 땅에 들어가게 하고 이르기를, 내가 너희에게 세운 언약을 영원히 어기지 아니하리니,2. 오직 너희는 이 땅 거민으로 더불어 언약을 세우지 말며, 그 제단을 헐라 하였으나, 너희가 내 말을 듣지 아니하고 어찌하여 그렇게 행하였으냐?  3. 그런 고(故)로 내가 전에 말하기를, 반드시 이 백성을 너희 앞에서 쫓아내지 아니하리니, 그들이 너희 옆구리에 가시가 되며, 그들의 신(神)들이 너희에게 올무가 되리라 하였노라. 하시거늘, 4. 여호와의 사자(使者)가 이스라엘 모든 자손에게 이 말씀을 하시매, 백성들이 소리를 높여 우는지라. ..

사사기 1장

1장 유다지파와 시므온지파가 아도니 베섹을 사로잡다 1. 여호수아가 죽은 후에,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 여쭈어 가로되, 누가 우리를 위해 먼저 올라가서, 가나안 사람과 싸우리이까 ? 하니, 2.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유다가 올라 갈지니, 볼지어다 내가 이 땅을 그 손에 붙였느니라. 하시더라. 3. 유다가 그 형제 시므온에게 이르되, 나와 함께 올라가, 내가 제비 뽑아 얻은 땅에서, 가나안 사람과 싸울진대, 그리하면 내가 또한 네가 제비 뽑아 얻은 땅에 함께 가리라. 하니, 이에 시므온이 함께 가니라. 4. 유다가 올라가매, 여호와께서 가나안 사람과 브리스 사람을 그 손에 붙이시니, 그들이 베섹에서 일만 명을 쳐 죽이고, 5. 또 베섹에서 아도니 베섹을 만나 싸워, 가나안 사람과 브리스 사람을 쳐 ..

성경전서 번역사 (p. 23, 24)

p. 23~24                           참고문헌  강길수, “성서와 교육: 기독교 교육에 영향 지대,” 한국어성서완역 희년특집호 (1960년 5월): 16-19. 기독신보, “광고,” 1916년 3월 29일. -----. “대영성서공회 광고,” , 1916년 8월 9일. -----. “대영성서공회와 대미국성서공회 광고,” , 1917년 6월 1일. -----. “개인소식” , 1917년 11월 28일. -----. “대영성서공회 광고,” , 1918년 1월 9일. -----. “성서 급 전파의 필요,” , 1918년 5월 15일. -----. “조선 내 성서사업” , 1918년 5월 22일. -----. “社說: 世界的二大勢力에셔 脅迫밧을 朝鮮敎會,” , 1919년 9월 24일..

성경전서 번역사 (p. 22)

p. 22 혹자의 말에 단순한 신앙만 양성할 것이고 복잡한 지식을 요구할 의미가 없다. 지식이 부하면 신앙이 박하다 하나니, 보라 신앙 30 성상에 우리 교회가 사회를 위하여 착수한 것이 무엇이 냐.... 교회를 위하여 한 것이 무엇이냐. 일례로만 말할진대, 구신약전서에 대한 주석 1권도 출 세시킴은 제2문제로 하여보자는 관념인들 누가 입에 걸어보기나 있었나 없었나 회상하여 보 라.... 이는 지식의 천박한 결과가 아니리오.... 우리 그리스도 교회는 노동자를 賤하게 보지 않 고 지식자를 輕하게 여기지 아니하노라.... 노동자가 없는 세계에는 창작물이 乏할 것이오, 지 식자가 없는 사회에는 이해력이 絶하리니, 창작물이 없으면 경제방면이 退縮하여 질 것이요, 이해력이 없으면 변천시대를 두려워 할 따름이리니..

성경전서 번역사 (p. 21)

p. 21 있도록” 새로 번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9) 당시 임영빈 총무는 “50주년 기념을 맞이해서 우리성서가 더 부드럽고 가장 현대적인 표현을 가진 번역문학 가운데서 최고봉에 달하는 번 역을 해 보려는 야심은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90) 결론 오늘 한글 성경 완역과 출판 제2 희년을 맞아 제1희년 때 강력하게 요청했던 새 번역 의 필요를 반복하지 않을 수 없다. 1911년 최초의 한글 성경전서의 출판과 그 번역과 반포 에 대한 역사적 의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한국교회 제1세대 (1879-1910)는 황무지에서 성경을 한글로 번역하고, 헌신적으로 반포하였으며, 신약 성경 을 읽은 교인들은 회개와 부흥으로 한국 교회..

성경전서 번역사 (p. 20)

글까지도 자유로이 하지 못하고 일인에게 갖은 압박을 다 당하며 지내왔”으나 성경 번역으 로 “우리 글을 보게 해서 각 방면으로 더욱 개화해 나가는데 큰 힘이 되었으며 우리 문화사 상에 공적이 많을 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의 애국심까지도 높여 주었다”고 평가했다.82) 기념 강연 1960년 4월 7-8일 밤에는 새문안교회에서 김윤경, 최준, 홍이섭, 김우규, 강길수, 황 광은 등이 “성서가 한국 근대 문화에 끼친 영향”이란 주제로 강연회를 개최했다. 김윤경은 기독교 전도와 더불어 한글을 생명을 얻게 되었다고 성경의 한글 보급에서의 선구적 역할을 강조했다.83) 홍이섭은 기독교가 일제 시대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 복음서가 로마 식민지 시 대를 배경으로 하므로 한국인이 성서의 정신을 받아들여 민족적인 ..

성경전서 번역사 (p. 19)

p. 19 삼일운동 기간에는 일부 권서는 지방의 연락책으로 민족 운동에 참여했다. 일제 10년간의 무단 통치 하에서 민중의 고통을 직접 피부로 느끼면서 민족의 독립 문제를 고민하던 권서들이야말로 한 지역의 지리와 사정에 누구보다 정통한 자들이었다. 1920년 영국성서공회의 연례보고서를 보자. 한 해 동안 권서 사역은 특별히 어려웠다. 어떤 권서는 ‘독립’ 운동에 연계되었기 때문에 체포 되어 경찰의 엄한 조사를 받고 있고, 몇 명은 아직 감옥에 있다. 여러 주 동안 권서 활동은 침 체되었다.... 경찰은 이 집 저 집 혹은 이 마을 저 마을로 다니는 사람들을 매우 의심한다. 왜냐 하면 그들이 불온문서를 퍼뜨리거나 ‘위험한 사상’을 전파할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76) 일본 순사들은 “권서들을 이집 저집으..

성경전서 번역사 (p. 18)

p.18 [표 4]에서 보듯이 공회에 고용된 권서는 1909년에 100명을 넘었고, 1915년에 약 300명에 이르러 최대치를 기록했다. 영국성서공회의 경우 1917년에 한국 권서의 수나 반포 량은 세계에서 제2위를 기록했다. 그만큼 한국의 권서 사업이 1910년대 중반에 세계 교회 사에서 유래가 없을 정도로 활발하게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71) 공회는 증가하는 권서들 을 지도하기 위해서 권서 대회와 권서 총회를 열어 전국 권서에 대한 위로와 교육과 공동체 정신 강화의 시간을 가지고, 권서 시찰원을 두어 순행 감독하게 했다. 권서 시찰원의 한 명 이었던 이홍주는 1917년 9월 서울을 출발하여 대구 선교구역의 다섯 고을을 다니며 부흥회 를 인도하였는데, “하나님의 출상하신 은혜를 내리사 영남..

성경전서 번역사 (p. 17)

p. 17 복음의 씨를 뿌리고, 싹이 나도록 물을 주고 위해서 기도하며 자라도록 가꾸고 돌보는 자였 다. 권서의 믿음과 헌신의 모범이야말로 새 신자들이 따라가야 할 신앙의 새 삶의 모습이었 다.66) 그 결과 수많은 교회가 권서의 손으로 개척되었다. 장터나 초가집 마당이나 길이나 어디에서든지 이루어진 권서의 ‘암석 깨기’나 ‘씨 뿌리기’에 이어지는 후속 조치는 대부분 전도인, 목사, 선교사의 몫이었다. 권서는 이름 없이 빛도 없이 선구자의 역할을 하는 데 만 족하고 다른 마을로 향했다. 1908년 하디 목사는 1896년 이래 12년간 남감리회가 설립한 225개 교회의 대부분이 권서에 의해 개척되었다고 공회에 보고했다. “교회나 기도소가 있는 각 지방은 의례히 귀 공회의 권서가 먼저 복음을 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