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26

레위기 16장

16장(章)   속죄일   1. 아론의 두(2) 아들이 여호와 앞에 가까이 하다가 죽은지라. 그 죽은 후(後)에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2. 가라사대 네 형(兄) 아론에게 이르기를, ‘성소(聖所) 휘장(揮帳) 안 법궤(法櫃) 위에 있는 속죄소(贖罪所) 앞에 무시(無時)로(아무때 든지) 들어가지 말라 하라.’ 죽을까 염려(念慮)하노니, 무엇보다, 내가 속죄소(贖罪所) 위에 구름 가운데서 나타나리라. 3. 아론이 만일(萬一) 성소(聖所)에 들어가면 이렇게 할지니, 수송아지 하나(1)로 속죄(贖罪) 제물(祭物)을 삼고, 수양(羊) 하나(1)로 번제(燔祭) 제물(祭物)을 삼고, 4. 거룩한 긴 베적삼을 입으며, 하체(下體)에는 베 고의를 입고, 베 띠를 띠며, 베 관(冠)을 쓸지니, 이는 거룩한 예복(禮服)..

레위기 15장

15장(章)   몸에 유출병이 있으면   1.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일러 가라사대, 2. 너희는 이스라엘 자손(子孫)에게 고(告)하여 이르기를, 누구든지 그 몸에 임질(淋疾)이 있으면, 그 임질(淋疾)로 인(因)하여 부정(不淨)한지라.주(註)①임질(淋疾):임균(淋菌)이 일으키는 요도 염증(炎症) 3. 그 임질(淋疾)의 부정(不淨)함(정결치 못함)이 이러하니, 혹(或) 그 몸에 임질(淋疾)의 고름이 흐르든지, 혹(或) 그치든지, 다 부정(不淨)한 것이라. 4. 무릇 임질(淋疾) 있는 자(者)의 눕는 침상(寢牀)과 앉는 모든 자리도 부정(不淨)할 것이요, 5. 무릇 그 침상(寢牀)을 만지는 자(者)는 그 옷은 빨며 목욕(沐浴)할지니, 저녁까지 부정(不淨)할 것이요, 6. 무릇 그가 앉았던 자리에 앉는 ..

레위기 14장

14장(章)   환자가 정결하게 되는 날의 규례   1.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2. 문둥병을 정결(淨潔)케 하는 날에 그 규례(規例)가 이러한지라. 그를 데리고 제사장(祭司長) 앞에 갈지니, 3. 제사장(祭司長)이 진영(陣營) 밖에 나가서 살펴보아, 문둥병(病)이 나았으면, 4. 명(命)하여 정결(淨潔)함을 받을 자(者)를 위(爲)하여, 산(살아있는) 정(淨)한 새 두(2) 마리와, 또 백향목(柏香木)과 홍색실(紅色-)과 우슬초(牛膝草)를 가져다가, 5. 명(命)하여, 새 하나(1)는 흐르는 물 위 질그릇 가운데서 잡고, 6. 그 산(살아있는) 새를 취(取)하여, 백향목(柏香木)과 홍색실(紅色-)과 우슬초(牛膝草)와 함께 가져다가, 산(living,살아있는) 물 위에서 잡은 새의 피에 찍어..

레위기 13장

13장(章)   피부가 나병 같이 되거든   1.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일러 가라사대, 2. 만일(萬一) 사람의 살가죽이 붓거나, 혹(或) 딱지가 앉거나, 혹(或) 그 빛깔이 얼룩얼룩하여 그 살가죽이 문둥병(病)과 같이 되면, 곧 제사장(祭司長) 아론 앞에나, 제사장(祭司長)된 그 자손(子孫) 중(中) 하나(한명) 앞에, 데리고 갈지니, 3. 제사장(祭司長)이 그 살가죽의 아픈 곳을 살펴, 만일(萬一) 그 아픈 곳의 털이 변(變)하여 희어지고, 살가죽보다 깊은 모양(模樣)이면(우묵하면), 곧 문둥병(病)이니, 제사장(祭司長)이 그를 보고 ‘부정(不淨)하다’ 이를 것이요, 4. 만일(萬一) 얼룩얼룩한 것이, 살가죽에 있어 희고, 가죽보다 더 깊지 아니한 모양(模樣)이요, 또 그 털이 희어지지 아니하였..

레위기 12장

12장(章)   아이를 낳은 여인에 대한 규례   1.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2. 너는 이스라엘 자손(子孫)에게 고(告)하여 이르기를, 만일(萬一) 여인(女人)이 잉태(孕胎)하여 아들을 낳으면, 칠일(7日) 동안은 부정(不淨)하여, 경도(經度)(월경(月經)할 때와 같이(처럼), 부정(不淨)하리니, 3. 팔일(8日)만에, 아들에게 할례(割禮)를 줄 것이요, 4. 그 후(後)에는 해산(解産)할 때에, 흘린 피를 정결(淨潔)케 하려고, 그 여인(女人)이 삼십 삼일(33日)을 여전(如前)히 지내리니, 정결(淨潔)케 하는 기한(期限)이 차기 전(前)에, 거룩한 예물(禮物)을 만지지도 말며, 성소(聖所)에 들어가지도 말라. 5. 만일(萬一) 딸을 낳으면, 두(2) 이레(7) (2x7=14日) 동안은 ..

레위기 11장

11장(章)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   1.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일러 가라사대, 2. 너는 이스라엘 자손(子孫)에게 이르기를, 땅 위에 다니는 모든 짐승 중(中)에 너희가 가히(可-) 먹을 것은 이러하니, 3. 무릇 짐승 중(中)에 굽이 갈라져 쪽발이 되고, 새김질도 하는 짐승은 가히(可-) 먹되, 4. 오직 새김질하는 짐승과 굽이 갈라진 짐승 중(中)에서, 먹지 못할 짐승은 이러하니, 약대(낙타)는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니, 부정(不淨)한 것이요, 5. 사반(오소리)도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니, 부정(不淨)한 것이요, 6. 토끼도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니, 부정(不淨)한 것이요, 7. 돼지는 굽이 갈라져 쪽발이로되, 새김질을 못하니, 부정(不淨)한..

레위기 10장

10장(章)   나답과 아비후가 벌을 받아 죽다   1. 아론의 아들 나답과 아비후가 각각(各各) 향로(香爐)에 불을 담아 향(香)을 피울새, 여호와 앞에 거룩지 못한 불을 드려, 그 명(命)하심을 좇지 아니하니, 2. 여호와 앞에서 불이 나와서, 두 사람을 불사르매, 여호와 앞에서 죽은지라.  3. 그때에 모세가 아론에게 이르되, 이는 여호와의 말씀이 가라사대, ‘나를 가까이 하는 자(者) 중(中)에(서), 거룩함을 이루어, 모든 백성 앞에서 나의 영광을 나타내리라’ 하셨다. 하니,  4. 아론이 잠잠(潛潛)하거늘, 모세가 아론의 아재비(작은 아버지,삼촌) 웃시엘의 두 아들 미사엘과 엘사반을 불러 이르되, 너희는 나아와서 너희 형제(兄弟)의 시체(屍體)를 성소(聖所) 앞에서 메어 진영(陣營) 밖에 내..

레위기 9장

9장(章)   아론이 첫 제사를 드리다   1. 제(第) 팔일(8日)에 이르러, 모세가 아론과 그 여러 아들과 및 이스라엘 장로(長老)를 부르고, 2. 아론에게 이르되, 너는 소 무리 중(中)에서 수송아지 하나(1)를 취(取)하여, 속죄(贖罪) 제물(祭物)을 삼고, 수양 하나(1)를 취(取)하여, 번제(燔祭) 제물(祭物)을 삼되, 흠(欠) 없는 것을 여호와 앞에 드리고, 3. 또, 이스라엘 자손(子孫)에게 고(告)하여 이르기를, 너희는 수염소 하나(1)를 취(取)하여, 속죄제(贖罪祭)로 삼고, 일년(1年)된 수송아지 하나(1)와 어린 양(羊) 하나(1)를 흠(欠) 없는 것으로 취(取)하여, 번제(燔祭) 제물(祭物)을 삼고, 4. 또한, 소 하나(1)와 수양(-羊) 하나(1)를 취(取)하여, 화목제(和睦祭..

레위기 8장

8장(章)   아론과 그의 아들들의 제사장 위임식   1.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2. 너는 아론과 그 여러 아들을 데리고, 그 옷과 바르는 기름과 속죄(贖罪) 제물(祭物)로 드릴 수송아지와 및 수양(羊)들과, 누룩 없는 떡 한(1) 광주리를 취(取)하고, 3. 온 무리를 불러, 회막(會幕) 문(門) 앞에 모으라. 하시니, 4. 모세가 여호와께서 명(命)하신 대로 행(行)하매, 무리가 회막(會幕) 문(門) 앞에 모이거늘, 5. 모세가 무리에게 이르되, 이는 여호와께서 명(命)하여 행(行)하게 하신 것이라. 하고, 6. 아론과 그 여러 아들을 데려다가, 물로 몸을 씻기고,  7. 아론에게 적삼을 입히며, 띠를 띄우고, 겉옷을 입히며, 에봇을 걸고, 에봇에 기묘(奇妙)한 띠를 띠어, 그 띠로 에..

레위기 7장

7장(章)   소건제를 드리는 규례   1. 속건제(贖愆祭)의 규례(規例)가 이러하니, 이는 지극(至極)히 거룩한 것이라.2. 번제(燔祭)의 희생(犧牲)을 잡는 곳에서, 속건제(贖愆祭)의 희생(犧牲)을 잡아, 그 피를 제단(祭壇)으로 돌아가며 뿌리고, 3. 그 모든 기름을 드릴지니, 곧 기름진 고기와 내장(內臟)에 덮인 기름과, 4. 두 콩팥과 그 위에 있는바, 허리 사이의 기름과 및 간(肝)과 콩팥 위에 있는 꺼풀을 취(取)한즉, 5. 제사장(祭司長)이 다 제단(祭壇) 위에 불살라 여호와께 화제(火祭)로 드릴지니, 이는 속건제(贖愆祭)라. 6. 그 고기는 제사장(祭司長) 중(中)에, 사내마다 먹되, 거룩한 데서 먹을지니, 지극(至極)히 거룩함이라.”  7. 속건제(贖愆祭)는 속죄제(贖罪祭)와 같으니 다..